본문 바로가기
직장인 투자 다이어리

8월 현금 굴리기 결과

by Brissy Jun 2023. 8. 31.
728x90
반응형

7월의 경우 가지고 있는 현금을 공모주로 최대한 수익을 거두려 했었다. 

그 결과는 이전 글에서 확인 가능한데 한 번 보시면 재밌을 것 같다. 

2023.07.29 - [직장인 투자 다이어리] - 7월 주식 공모주 투자 결과 (7월)

지난번 해당 글을 작성하면서 느낀 점은 가지고 있는 현금으로 은행 대출 원금을 갚는 것이 더 이득이라는 사실이었다. 

그래도 사람 심리가 어느 정도 현금을 보유하고 싶은 마음이 있어 이번달도 원금은 그대로 갚지 않고 가지고 있는 돈을 최대한 굴려보려고 하는데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적어보겠다. 

 

7월 주식 공모주 투자 결과 (7월)

월급을 받으면 은행에 상환해서 매달 지출로 나가는 이자를 줄이면 좋을지 해당 돈을 굴려서 은행에 여유가 있을 때 한 번씩 갚으면 좋을지 고민이 되었다. 예전부터 주식 공모주를 꾸준히 했었

brissyjun.tistory.com

 

저번달의 경우 카카오세이프박스에 현금을 보관하면서 공모주가 있을시 비례 배정까지 신청하였는데 앞으로 균등 배정만 신청하려 한다.

 

공모주로 현금을 굴리다가 새로운 방법으로 전환한 이유는

  1. 직장인으로서 당일 요동치는 공모주 매도 가격을 확인하기 쉽지 않음
  2. 공모주가 많은 7월에 약 17만 원 정도의 수익을 거두었는데 6개월 정도 굴린다고 가정하면 102만 원 정도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 같은데 새로운 방법이 더 많은 수익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음
  3. 현금을 이체하고 다시 계좌로 가져오는 것이 다소 번거롭고 업무 시간에 방해를 받음

결론적으로 대다수 현금을 옮긴 곳은 카카오뱅크 X 한국투자증권 발행어음 6개월 만기이다.

무려 6개월 만기 수익률이 4.4%이다. (지금은 4.5%가 된 것 같다 ㅠㅠ) 
6개월 현금을 여기 묶어 두면 정확하게 6개월만 넣어두니 4.4%의 절반 2.2% 수익이 세전으로 발생한다고 할 수 있겠다. 

현금을 넣기 전 예상 수익률을 확인해 보니 공모주 6개월 열심히 했을 때와 비슷하여 업무에 조금 더 집중하고자 여기 투자하기로 결심했다. (약 100만 원 정도)

 

아이폰 기준 카카오뱅크 App에서 어떻게 찾을 수 있는지 공유해 드리겠다 (하기 이미지 참고)

카카오뱅크 모바일 기준 로그인 후 하단 가장 오른쪽 Dot 3개를 누른 후 -> 스크롤 다운해서 투자 Category를 찾는다 -> 투자 항목에서 약속한 수익 받기에 들어가면 되겠다. 그러면 6개월 혹은 1년 2개의 옵션이 있으니 본인의 현금 흐름에 맞게 선택하면 되겠다. 

 

 

모든 돈을 여기 묶어두기는 그래서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처럼 수시출입금이 가능한데 조금 더 이자율이 높은 곳을 찾아서 그것도 한 번 공유해 보겠다. 

 

카카오뱅크 2.1% 수시출입금과 비교하면 1.5배 더 높은 곳은 바로 한국투자증권의 수시출입금 RP이다. 

RP 특징은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와 비교하면 예금자보호가 안 된다는 점이지만 사실 크게 의미가 없다는 사실이 알게 되었다. 

쉽게 예를 들면 우리가 돈을 빌려준 누군가가 망하면 빌려준 돈을 돌려받기 쉽지 않은 것과 똑같은 논리라고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한국투자증권이 작은 곳도 아니고)

그래서 한국투자증권 수시 출입구 RP 연 이자율 3.2%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지만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 1.5배라 충분히 할만하다고 생각한다.

그럼 한국투자증권 모바일 기준 App 기준으로 RP에 돈을 넣어둘 수 있는지 간략하게 하기 이미지를 참고해 보시면 도움 될 것 같다. 

접속 후 왼쪽 하단 빨간색 네모 박스 메뉴를 클릭한다 -> 상품 Tab 클릭 -> 채권/RP에서 RP 검색에 들어가서 본인에게 맞는 RP를 선택하면 되겠다. 

결국 가지고 있는 현금을 공모주 대신 RP에 넣어둔 형태인데 처음에 설명드린 4.4% 약정형의 경우 일정 기간 무조건 돈을 예치해야 하는 형태이다. (중간에 해지 가능하지만 그만큼 이자율에 대한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마지막에 설명드린 RP의 경우 3.2% 이자율로 약정형보다 수익성이 낮지만 수시출입금으로 바로바로 현금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혹시라도 필요할 수 있는 현금 부분만 3.2% 수시 출입금에 넣어두고 당분간 사용할 일 없는 큰 액수의 경우 약정형에 넣어두었다. 

 

※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에 2.1%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하고 비교하면 이자율 1% 2% 차이인데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생각하는 분이 있다면 꼭 드리고 싶은 말이 있다. 수치로 보면 필자가 돈을 예치한 RP와 카카오뱅크와 비교하면 1%, 2%의 차이이지만 다른 관점으로 보면 이자로 받을 수 있는 돈의 액수가 1.5배 2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다. 2.1%의 2배는 4.2% 이고 2.1%의 1.5배는 3.15%이다.

쉽게 예를 들면 2.1%에서 한 달에 100,000원 이자를 받았다면 4.2%에서는 200,000원 이자를 받는 것이다.

10분만 투자하면 놀고 있는 현금이 더 불어날 수 있는데 귀찮다는 이유로 카카오뱅크 세이프박스에만 돈을 거치하지 않도록 하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