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rt Work/슬랙 (Slack) 활용 - 초보

슬랙(Slack) 시작하기 (초급)

by Brissy Jun 2023. 8. 26.
728x90
반응형
SMALL

슬랙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 기본적인 용어와 Concept을 알고 시작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 정리해 보려고 한다. 

가장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가 메시지인데 다른 메신저는 타 사업부, 다수 인원 혹은 외부와 소통이 힘들지만 슬랙을 통해 모든게 해결 가능하겠다. (외부와 소통 가능한 특징이 슬랙의 또 다른 장점 중 하나인 것 같다) 

이전 글에서 Google Workspace + Slack 사용 경험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두었는데 한 번 참고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린다.

2023.08.26 - [Smart Work] - Smart하게 일하기 (G-suite & 슬랙)

 

Smart하게 일하기 (G-suite & 슬랙)

이전 글에서 한국 회사 외국계 일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경험에 근거하여 짧게 적은 글이 있다. 친구 혹은 부모님과 얘기하다 보면 가장 놀라는 것이 필자의 경우 MS Office License도 보유하고

brissyjun.tistory.com

슬랙은 누구나 바로 만들어서 시작할 수 있다. 가장 먼저 만들어야 하는게 워크스페이스이고 생성 후 다른 사용자들을 초대하면 되겠다. 

  • 워크스페이스란 -> 임직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큰 건물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겠다. 예를 들면 임직원 수 200명인 A라는 회사에서 슬랙을 활용하기 시작한다면 해당 워크스페이스에 임직원들을 모두 초대하면 되겠다

그럼 임직원을 어떻게 초대하면 되는지 실제 UI 화면도 공유해 보겠다. 슬랙 화면 좌측 상단에 해당 워크스페이스 이름이 나와 있고 작은 화살표 모양을 (∨) 눌러보면 여러 항목이 있는데 XXX 워크스페이스에 사용자 초대라는 글을 선택해 주면 된다.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나름 꿀팁을 공유해 보자면 초대받을 사람 이메일을 수기로 작성할 수도 있겠지만 Google Workspace 사용 중이라면 회사 임직원들을 편하게 초대할 수 있는 것 같으니 참고해 보자! 

다음 역할로 초대 클릭하면 멤버 혹은 게스트라고 뜨는데 멤버로 초대하면 되겠다. 

멤버는 말 그대로 임직원을 뜻하니 회사 내부 인원을 추가할 때는 멤버게스트의 경우는 자주 협업하는 외부 협업사 혹은 단기로 일하시는 분을 게스트로 활용할 수 있겠다 (유료/무료 2가지 형태인 것 같으니 참고할 수 있도록 하자) 

  • 슬랙 게스트란 ->  워크스페이스 내 제한된 액세스 권한만 가짐 (단일 게스트, 멀티채널 게스트 2가지로 크게 나뉘는 것 같은데 슬랙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자) 참고 URL 

신규 입사자 슬랙 초대시 가입과 동시에 여러 채널에 초대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하니 참고할 수 있도록 하자! 

멤버들이 들어오는 순간부터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고 채널을 생성하여 소통 가능하겠다. 

  • 채널 ->  업무 관련 직원들이 모여 소통하는 하나의 공간이다. 슬랙을 잘 활용하는 회사의 경우 사내 게시판 용도로도 활용한다 (사내 공지, Announcement, 칭찬 등) 
  • ▶ 채널명 생성 규칙도 회사 내부적으로 만들어 놓는 것이 중요하겠다. (예를 들면 인사팀-신규입사자, 영업팀-국내-서울, 영업팀-국내-경기, 경영지원-급여 등) 

 

슬랙 채널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공개 채널 -> 공개 채널은 말 그대로 누구나 볼 수 있다는 뜻이다. 쉽게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100명의 직원이 슬랙 워크스페이스에 들어와서 사용하고 있는 해당 공개 채널에 (채널명 : 영업팀-인사팀-주간 보고) 영업팀 + 인사팀 10명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다. 이 채널 안에 포함되어 있는 10명뿐만 아니라 해당 워크스페이스에 있는 90명도 해당 내용을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슬랙에서 업무 관련 내용을 찾기 위해 "환율"이라는 단어를 검색했는데 해당 채널 (영업팀-인사팀-주간 보고)에 환율이라는 단어가 왔다 갔다 한 적 있으면 검색해서 확인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채널에 조인하지 않고도 해당 채널을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업무 관련 내용은 웬만하면 공개 채널로 설정해 두는 것이 좋다고 말할 수 있겠다.
  • 비공개 채널  -> 비공개 채널은 공개 채널과 다르게 해당 채널에 있는 멤버만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보통 회사에서 특정 인물만 알아야 하는 내용, 직원 인사 관련 내용 등은 해당 채널에서 소통하는 편이다. 

슬랙 화면에서 공개 채널은 #으로 표시되며 비공개 채널은 자물쇠 표시로 나타나게 되어 있다. (하기 이미지 참고) 

즉 슬랙 멤버마다 검색했을 때 대부분 다른 결과값을 가지는 이유는 멤버가 포함되어 있는 채널이 다르고 DM (Direct Message)로 주고받은 내용이 다르기 때문이다. 

 

해당 Concept만 이해하고 슬랙을 사용한다면 업무에서 훨씬 더 유용하게 슬랙 활용이 가능하겠다.

 

다음 편에서는 슬랙 채널 관리 방법을 얘기해 볼 수 있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
LIST